• 연혁
  • 로고

본 연구소는 2002년 9월 설립 이후 연구과제의 수행, 학술회의 및 콜로키움 개최, 국내외 연구자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학술지『일본공간』발행 등 다양한 연구 활동을 펼쳐 왔습니다.

연구소 설립 직후, 기초학문연구사업인 ‘일본형 시스템의 동요와 새로운 모색에 관한 연구’(2002.8~2004.7)와 ‘일본형 시스템과 글로벌화’(2004.9~2006.8)를 수행하면서 연구소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초석을 다졌습니다. 이후, 중점연구소로 선정되면서 ‘한일회담 외교문서 공개에 따른 기초사료 연구’(2005.12~2008.11)를 수행하였고, 그 후속연구로써 ‘한일회담 이후 한일관계 관련 외교문서 및 기초자료의 수집, 발간, 연구’(2008.12~2011.11) 및 ‘한일회담 이전 시기(1945년~1951년) 한일관계 자료의 수집, 발간, 연구’(2011.12~2014.11)를 수행하였고, 이는 연구소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토대연구사업인 ‘한일회담 미해결 과제의 해법 마련을 위한 일본 측 자료 수집, 해제 및 자료해제집의 집대성 사업’(2012.9~2015.8)을 비롯하여 한일관계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한일관계 연구를 선도해 왔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국내외에서 큰 평가를 받았습니다. 중점연구소 제1단계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발간한 ‘한일회담 외교문서 해제집’(전5권)은 한일회담과 관련된 외교사 연구뿐만이 아니라, 외교정책 결정과정과 협상과정에 대한 획기적인 역할을 하였고, 한국 현대정치외교사의 연구 지평을 확대시킨 걸작으로 평가받았습니다. 해제집은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09년도 교육과학기술부 대표우수성과, 2012년 인문사회기초학문육성 10년 연구성과의 하나로 선정되었습니다.

2015년에는 한국 외교부와 일본 외무성이 지원한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국제학술행사’에서 국내 일본 관련 연구소로는 유일하게 본 연구소가 공동주최자로 참가하였습니다. 그리고 연구논문, 좌담회, 현지보고 등을 통해 일본의 다양한 모습을 한국사회에 알린 학술지 『일본공간』이 그 동안의 성과를 인정받으면서, 2015년에는 등재 후보지로 2017년도에는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습니다. 또한 2020년에 이루어진 학술지 재인증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 통과하여, 2026년까지 등재지 자격을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소는 앞으로도 『일본공간』 이 연구자들에게는 일본학에 대한 학문적 역량을 펼칠 수 있는 '학문의 공간'으로서, 대중들에게는 일본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소통의 공간'으로서 더욱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 2024
    이원덕 교수 제5대 소장 취임
  • 2020
    『일본 공간』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 재인증 평가 통과(6년간 등재지 유지)
  • 2019
    최희식 교수 제4대 소장 취임
  • 2017
    『일본 공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선정
  • 2015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국제학술행사’ 공동 개최 , 『일본 공간』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선정
  • 2012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사업 시작,『한일회담 외교문서 해제집』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기초학문육성 10년 대표 성과로 선정
  • 2011
    국민대학교 교내 우수 연구소 선정
  • 2010
    국민대학교 교내 최우수 연구소 선정
  • 2009
    『한일회담 외교문서 해제집』교육과학기술부 대표우수성과로 선정, 국민대학교 교내 우수 연구소 선정
  • 2008
    이원덕 교수 제3대 소장 취임, 국민대학교 교내 우수 연구소 선정
  • 2007
    학술지『일본 공간』 발행
  • 2005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사업 시작, 한상일 교수 제2대 소장 취임
  • 2002
    국민대학교 일본학 연구소 설립, 김영작 교수 초대 소장 취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연구사업 시작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로고 디자인은 일본학 교육의 중심을 지향하는 국민대 일본학연구소의 이념에 걸맞게 건축물의 힘이 되는 기둥을 연상하여 디자인하였습니다.

두뇌들의 집합소인 연구소를 그리스 신전과 같은 건축물로 비유하였고, 영문 앞 글자인 IJS를 신전의 기둥과 같이 우뚝 서있게 만들어 여러 일본학연구소들의 힘이 될 것을 상징합니다.
TOP